본문 바로가기

우주/태양계

행성의 분류

위치에 따른 분류

내행성

태양계에서 지구보다 태양에 가까운 궤도를 도는 행성
→ 수성, 금성

외행성

태양계에서 지구보다 먼 궤도를 도는 행성
→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특성에 따른 분류

지구형 행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처럼 지구와 성질이 비슷하며 암석으로 된 행성. 또한 지구보다 크기가 작고 밀도가 비슷하며 표면과 지각이 고체로 되어 있다.

목성형 행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처럼 목성과 성질이 비슷하며 기체로 되어있고 밀도가 지구보다 낮은 행성. 또한 모두 토성처럼 고리를 가지고 있다.
21세기에 들어 목성형 행성을 두 가지로 분류한다.

크기에 의한 분류

크고 무거운 행성을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한다. 태양계에서는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분류된다. 모두 지구보다 직경 4배 이상, 질량 10배 이상의 크기이면서 밀도는 작은 행성이다. 또 다른 공통점은 다수의 위성과 고리를 가진다는 점이다.

성분에 의한 분류

비휘발성 핵 주위를 액체 혹은 기체 수소나 헬륨이 둘러싼 구조의 행성을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한다. 태양계에서는 목성과 토성이 분류된다. 천왕성과 해왕성도 과거에는 유사한 구성으로 여겨졌으나 행성탐사가 이루어지면서 가스와 중심부와의 비율이 자세히 알려진 결과 목성 및 토성과는 구성이 크게 다르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때문에 목성과 토성(거대가스행성)만을 목성형 행성이라고 하고, 천왕성과 해왕성은 천왕성형행성(거대얼음행성)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있다. 20세기 말 이후엔 태양계 밖 행성으로 주성에 가까운 궤도를 공전하는 많은 Hot Jupiter(뜨거운 목성형 행성)가 발견되고 있다.
지구형 행성은 주로 암석이나 금속 등 비휘발성물질로 구성된 행성을 말한다. 태양계에서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여기에 해당한다. 목성형 행성에 비해 질량이 작고 밀도가 크다. 목성형 행성은 주성분이 가스로 되어 있어 밀도는 낮고 크기는 거대하다. 지구형 행성처럼 딱딱한 지표가 없으며 중심부로 감으로써 행성을 구성하는 수소가스가 압력에 의해 액상화되고, 더 깊어질수록 수소는 액체금속상태가 되어있으리라 생각된다. 금속수소 층보다 더 아래엔 지구의 10배정도의 질량을 가진 암석과 금속, 얼음물질 등으로 된 중심핵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많은 행성이 고리를 가졌고, 위성을 많이 거느린 경우가 많다. 또한 강한 중력을 가졌기 때문에 태양계 안쪽으로 오는 혜성의 침입을 막는 측면이 있다는 설이 있는데 이것은 목성에 슈메이커 레비 9 혜성(1993)충돌이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이 특징으로 지구는 치명적인 혜성충돌을 막을 수 있으며 생명이 오래 생존하고 진화할 수 있다는 설도 있다.
태양계 행성 분류
지구형행성
(고체행성)
수성 내행성
금성
지구 -
화성 외행성
거대행성 목성형행성
(거대가스행성)
목성
토성
천왕성형행성
(거대얼음행성)
천왕성
해왕성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http://astro.kasi.re.kr/Main/ContentViewForm.aspx?MenuID=1244

'우주 > 태양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성의 운동  (0) 2010.01.31
태양의 탄생과 진화  (0) 2010.01.31
태양계의 기원설  (0) 2010.01.31